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금융

임대소득과 금융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by 조이픽쓔-01 2025. 2. 24.

예시 )  보증금 15억 원, 월세 450만 원 임대소득, 그리고 연 4% 금융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간주임대료와 금융소득이 중복 과세되는지, 절세 전략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임대소득과 금융소득,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

보증금 15억 원에 월세 450만 원 임대소득이 있고, 보증금을 연 4% 금융상품으로 운용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소득

귀하의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임대소득
    • 월세 수입: 450만 원 × 12개월 = 5,400만 원
    • 보증금 간주임대료 (아래 계산)
  • 금융소득 (이자소득)
    • 보증금 15억 원 × 연 4% = 6,000만 원
    • 금융소득 종합과세 여부 판단 필요

종합소득세 신고하러 가기 : 국세청

2. 간주임대료 계산

간주임대료란 보증금을 무이자로 받은 경우, 해당 금액을 예금했을 때 발생할 이자를 가상의 소득으로 간주하여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계산 공식:

(보증금 - 3억 원) × 과세 기준 이자율 (2023년 기준 1.8%)

적용하면:

(15억 원 - 3억 원) × 1.8% = 2억 원 × 1.8% = 2,160만 원

3.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계산

항목 금액(원)
월세 소득 5,400만
간주임대료 2,160만
금융소득(이자) 6,000만
총소득 합계 1억 1,560만

4. 금융소득 종합과세 여부

금융소득이 2천만 원 초과할 경우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귀하의 금융소득(6천만 원)은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https://hometax.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ui/pp/index_pp.xml&menuCd=search&searchInfo2328546323
종합소득세 환급금 조회 : 국세청

5. 간주임대료와 금융소득, 이중과세 문제는?

간주임대료와 금융소득이 동시에 과세될 경우, 중복 과세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 간주임대료: 보증금을 무이자로 받았을 때 발생하는 가상의 소득에 대한 과세
  • 금융소득: 보증금을 실제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발생한 이자소득

💡 즉, 두 개념이 다르므로 중복 과세가 아닙니다.

6. 종합소득세 예상 계산 (2023년 세율 기준)

과세표준별 세율 적용

  • 1,200만 원 이하: 6%
  • 1,200만 초과 ~ 4,600만 원: 15%
  • 4,600만 초과 ~ 8,800만 원: 24%
  • 8,800만 초과 ~ 1억 5,000만 원: 35%

귀하의 종합소득세 예상 계산:

  • (1,200만 × 6%) + (3,400만 × 15%) + (4,200만 × 24%) + (2,760만 × 35%)
  • = 72만 + 510만 + 1,008만 + 966만
  • = 2,556만 원 (예상 종합소득세)

7. 종합소득세 절세 전략

세금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세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임대사업자로 등록하여 필요경비 공제 받기
  • 금융소득을 배우자·가족 명의로 분산하여 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
  • 노란우산공제 가입 및 연금저축 활용하여 소득공제 혜택 받기
  •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 내 신고하여 가산세 방지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5월 31일)

8. 결론: 종합소득세 부담 줄이는 법

  • 보증금 간주임대료와 금융소득은 각각 과세되므로 이중과세 아님
  •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여 필요경비 공제 활용 가능
  • 금융소득 분산 및 절세 상품 활용으로 종합소득세 부담 줄이기

종합소득세 부담을 줄이려면 미리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세액공제, 경비 공제를 적극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