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주식 양도소득세 &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 주식 양도소득세 적용 기준
- 국내 상장주식 (대주주 X, 개인 투자자)
- 양도소득세 없음! (어떤 금액이든 과세 대상 아님)
- 매도 시 증권거래세 0.23%만 납부
- 국내 상장주식 (대주주: 지분율 1% 이상 또는 보유 금액 10억 이상)
-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 (세율: 22~27.5%)
- 해외주식 / 국내 비상장주식
- 연간 250만 원 초과 수익에 대해 양도소득세 부과
- 세율: 22% (지방소득세 포함)

✅ 예로 해외주식 양도차익 2,100만 원 일때
양도소득세 계산 공식:
과세 대상 소득 = 양도차익 - 기본 공제
세금 = 과세 대상 소득 × 22% (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계산 과정
- 양도차익: 2,100만 원
- 기본 공제: 250만 원
- 과세 대상 소득: 2,100만 원 - 250만 원 = 1,850만 원
- 세금: 1,850만 원 × 22% = 407만 원
💡 즉,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407만 원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 추가 Q&A
Q1. 근로소득(7천만 원)과 합산해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나요?
👉 아니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은 종합소득세 대상이 아니고, 별도로 분류 과세됩니다.
👉 즉, 근로소득과 합산되지 않고,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만 따로 신고 & 납부하면 끝!
Q2. 양도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 홈택스에서 2025년 5월 ‘양도소득세 신고’ 진행하면 됩니다.
👉 또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자동신고 대행 서비스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 정리 (결론)
- 📌 해외주식 양도차익이 2,100만 원
- 📌 기본 공제 250만 원 제외 후, 과세 대상 소득 1,850만 원
- 📌 세금 = 1,850만 원 × 22% = 407만 원 납부!
- 📌 종합소득세와 합산되지 않고 양도소득세로 별도 과세
- 📌 2025년 5월 홈택스에서 신고 & 납부
✅ 국내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 (2024년 기준)
📌 국내 상장주식 (대주주 X, 개인 투자자)
✔ 양도소득세 없음! (과세 대상 아님)
✔ 매도 시 증권거래세 0.23%만 부과됨
📌 국내 상장주식 (대주주 요건 충족)
✔ 과세 대상: 지분율 1% 이상 또는 보유 금액 10억 원 이상인 경우
✔ 세율: 양도차익에 대해 22~27.5% 부과됨
✅ 예로 국내 상장주식 양도차익 2,100만 원 일때
💡 대주주가 아닌 경우?
✔ 양도소득세 0원!
✔ 매도 시 증권거래세(0.23%)만 부과됨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불필요!
💡 대주주인 경우?
✔ 양도소득세 = (양도차익 - 기본 공제 250만 원) × 22%
✔ 계산: (2,100만 원 - 250만 원) × 22% = 407만 원 납부
✅ 결론
💡 대주주가 아니면? → 양도소득세 없음! (5월 종합소득세 신고 X)
💡 대주주라면? → 약 407만 원 양도소득세 납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소득과 금융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0) | 2025.02.24 |
---|---|
임대소득, 금융소득의 경우 : 종합소득세 계산 예시 (0) | 2025.02.24 |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차이, 이것만 알면 끝! (1) | 2025.02.22 |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차이? 직장인과 개인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절세 꿀팁 (1) | 2025.02.22 |
국선세무대리인 제도: 세금 문제 해결 방법 알아보기 (0) | 202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