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금융사기를 시도하는 범죄입니다.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단계를 따르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1. 보이스피싱 당했을 때 즉시 해야 할 일
✅ 1)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지급 정지 요청
- 보이스피싱으로 돈을 송금했다면 최대한 빨리 해당 은행(카드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송금된 계좌의 지급 정지를 요청하세요.
- 주요 은행 고객센터 대표번호:
- KB국민은행 ☎ 1588-9999
- 신한은행 ☎ 1577-8000
- 우리은행 ☎ 1588-5000
- 하나은행 ☎ 1588-1111
- NH농협은행 ☎ 1661-3000
- 보이스피싱 전담 대응팀이 있어 빠르게 조치하면 돈이 인출되기 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 2) 경찰에 신고 (☎112) 및 피해 신고 접수
- 경찰청(☎112)에 전화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사실을 즉시 신고합니다.
-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하여 피해 신고서를 작성하고, 금융사기 관련 사건을 담당하는 수사팀에 접수하세요.
<금융사기 피해 예방 사이트 '사이버경찰청(eCRM)' -온라인 신고>
✅ 3)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여 피해구제 요청
- 금융감독원 ‘1332’ 콜센터에 전화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및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기통신 금융사기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하면, 경찰 조사 후 일정 기간 내에 피해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피해 구제 절차는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신고센터 확인>
📌 2.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
✅ 공식 기관(은행,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은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를 클릭하지 마세요.
✅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확인하세요.
✅ 불법 대출, 정부 지원금, 개인정보 확인 등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으면 즉시 끊고 신고하세요.
✅ 앱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 해킹 앱일 가능성이 높으니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
📌 3. 보이스피싱 피해금 환급 절차
1) 금융기관에 ‘지급정지 요청’
피해를 본 즉시 송금한 은행에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
2) 경찰에 신고 및 수사 요청
경찰에 신고 후, 피해 확인을 위한 수사가 진행됩니다.
3) 피해금 환급 신청 (금융감독원 1332)
- 지급정지가 성공하면 금융감독원에 ‘환급 신청’을 합니다.
- 경찰 수사 후, 피해자로 인정되면 일정 기간 후 피해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4.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유용한 서비스
🔹 스팸 차단 앱 사용
- ‘후후’, ‘Whoscall’ 같은 스팸 차단 앱을 설치하면 의심스러운 전화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 보이스피싱 차단 서비스 가입
- 은행이나 통신사의 금융사기 차단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예: KT, SKT, LGU+의 ‘스팸 문자·전화 차단 서비스’)
🔹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이용
- 일부 은행(신한은행, 국민은행 등)은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을 제공하므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 5. 결론 – 빠른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금융기관과 경찰에 신고하세요.
🚨 예방을 위해 의심되는 전화나 문자는 절대 응답하지 마세요.
🚨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하면 금융감독원(☎1332)에서 피해 구제를 신청하세요.
📌 이 정보가 유용하다면 주변 가족과 지인들에게 공유해주세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경기도 다자녀가정 아이돌봄 비용 | 최대 30만 원 혜택 지원 (0) | 2025.03.12 |
---|---|
노인, 고렿자도 안심, 맞춤 디지털 뱅킹 | 보이스피싱 피해시 대처방법 (0) | 2025.02.24 |
임대소득과 금융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0) | 2025.02.24 |
임대소득, 금융소득의 경우 : 종합소득세 계산 예시 (0) | 2025.02.24 |
2024년 기준으로 2025년 주식 양도소득세 &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