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금융

"이런 전화 받으면 100% 사기! 보이스피싱 피해 시 즉각 대처 방법"

by 조이픽쓔-01 2025. 2. 24.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은 전화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금융사기를 시도하는 범죄입니다.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단계를 따르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1. 보이스피싱 당했을 때 즉시 해야 할 일

✅ 1)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지급 정지 요청

  • 보이스피싱으로 돈을 송금했다면 최대한 빨리 해당 은행(카드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송금된 계좌의 지급 정지를 요청하세요.
  • 주요 은행 고객센터 대표번호:
    • KB국민은행 ☎ 1588-9999
    • 신한은행 ☎ 1577-8000
    • 우리은행 ☎ 1588-5000
    • 하나은행 ☎ 1588-1111
    • NH농협은행 ☎ 1661-3000
  • 보이스피싱 전담 대응팀이 있어 빠르게 조치하면 돈이 인출되기 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 2) 경찰에 신고 (☎112) 및 피해 신고 접수

  • 경찰청(☎112)에 전화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사실을 즉시 신고합니다.
  •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하여 피해 신고서를 작성하고, 금융사기 관련 사건을 담당하는 수사팀에 접수하세요.

 

<금융사기 피해 예방 사이트 '사이버경찰청(eCRM)' -온라인 신고> 

✅ 3)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여 피해구제 요청

  • 금융감독원 ‘1332’ 콜센터에 전화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및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기통신 금융사기 피해금 환급 신청’**을 하면, 경찰 조사 후 일정 기간 내에 피해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피해 구제 절차는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신고센터 확인> 

📌 2.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

공식 기관(은행,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은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를 클릭하지 마세요.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의 대표번호로 직접 확인하세요.
불법 대출, 정부 지원금, 개인정보 확인 등을 요구하는 전화를 받으면 즉시 끊고 신고하세요.
앱 설치를 유도하는 경우, 해킹 앱일 가능성이 높으니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

📌 3. 보이스피싱 피해금 환급 절차

1) 금융기관에 ‘지급정지 요청’

피해를 본 즉시 송금한 은행에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

 

2) 경찰에 신고 및 수사 요청

 

경찰에 신고 후, 피해 확인을 위한 수사가 진행됩니다.

 

3) 피해금 환급 신청 (금융감독원 1332)

 

- 지급정지가 성공하면 금융감독원에 ‘환급 신청’을 합니다.

- 경찰 수사 후, 피해자로 인정되면 일정 기간 후 피해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4.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유용한 서비스

🔹 스팸 차단 앱 사용

  • ‘후후’, ‘Whoscall’ 같은 스팸 차단 앱을 설치하면 의심스러운 전화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 보이스피싱 차단 서비스 가입

  • 은행이나 통신사의 금융사기 차단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예: KT, SKT, LGU+의 ‘스팸 문자·전화 차단 서비스’)

🔹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이용

  • 일부 은행(신한은행, 국민은행 등)은 보이스피싱 탐지 기능을 제공하므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 5. 결론 – 빠른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금융기관과 경찰에 신고하세요.
🚨 예방을 위해 의심되는 전화나 문자는 절대 응답하지 마세요.
🚨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하면 금융감독원(☎1332)에서 피해 구제를 신청하세요.

📌 이 정보가 유용하다면 주변 가족과 지인들에게 공유해주세요!